보도자료
[고려방송] 광주 고려인마을 ‘한글문학 기획전’, 소설가 계봉우 작품과 그의 삶 재조명
페이지 정보

본문
[고려방송] 광주 고려인마을 ‘한글문학 기획전’, 소설가 계봉우 작품과 그의 삶 재조명
-‘고려인 한글문학 기획전’ 내년 2월까지 전시
-독립운동가이자 문학인 발자취 되새겨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주고려인마을이 마련한 특별 전시에서 고려인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시인 계봉우(1880~1959) 선생의 삶과 작품 세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3일 고려인마을에 따르면, 이번 ‘고려인 한글문학 기획전’ 은 광산구 지원을 받아 지난달 3월 1일부터 고려인문화관(관장 김병학)에서 진행 중이다.
전시는 망명과 억압, 강제이주의 아픔을 문학으로 증언한 고려인 문학인들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며, 그들의 삶과 문학적 유산을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
*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주고려인마을이 마련한 특별 전시에서 고려인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시인 계봉우(1880~1959) 선생의 삶과 작품 세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사진=고려인마을 제공
특히 전시의 핵심 인물로 소개되는 계봉우 선생은 문학인일 뿐 아니라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민족교육가로서 한 평생을 민족의 자주성과 언어, 역사 보전에 헌신한 인물이다.
1890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난 그는 1906년부터 함흥 영생중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고, 이후 이동휘 선생과 함께 비밀결사 신민회에 가입, 국권회복운동에 참여했다.
1911년 북간도로 망명한 그는 광성학교를 설립하고, 교과서 편찬과 민족교육에 매진하며 한인 사회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다.
1915년 일제에 체포돼 3년간 복역한 뒤, 러시아로 망명한 계 선생은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북간도 대표의원으로 의정 활동을 펼쳤다. 또한 ‘북간도 그 과거와 현재’, ‘김 알렉산드라 소전’, ‘의병전’ 등 주요 저작을 통해 독립운동과 국문학 연구를 이어갔다.
1920년에는 한인사회당 기관지 ‘자유종’ 주필로 활동했으며, 초·중등 교과서를 직접 편찬해 민족교육의 기틀을 세웠다. 1937년 연해주 한인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이후에도 카자흐스탄에서 22년간 한국어와 한국사를 가르치며 ‘조선문학사’, ‘조선문법’, ‘조선역사’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계봉우 선생의 생애는 문학과 교육, 독립운동이 하나로 어우러져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낸 실천적 지식인의 전형으로 평가받는다.
고려인마을 관계자는 “계봉우 작가를 비롯한 고려인 문학인들의 삶과 문학을 통해, 문학이 어떻게 민족의 기억과 정신을 지켜왔는지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방문을 바란다" 고 전했다.
한편, 고려인의 삶과 문학, 그 안에 담긴 역사의 진실을 되새기는 이번 전시는 내년 2월까지 고려인마을에서 계속된다.
고려방송: 안엘레나 (고려인마을) 기자
-‘고려인 한글문학 기획전’ 내년 2월까지 전시
-독립운동가이자 문학인 발자취 되새겨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주고려인마을이 마련한 특별 전시에서 고려인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시인 계봉우(1880~1959) 선생의 삶과 작품 세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3일 고려인마을에 따르면, 이번 ‘고려인 한글문학 기획전’ 은 광산구 지원을 받아 지난달 3월 1일부터 고려인문화관(관장 김병학)에서 진행 중이다.
전시는 망명과 억압, 강제이주의 아픔을 문학으로 증언한 고려인 문학인들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며, 그들의 삶과 문학적 유산을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
*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주고려인마을이 마련한 특별 전시에서 고려인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시인 계봉우(1880~1959) 선생의 삶과 작품 세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사진=고려인마을 제공
특히 전시의 핵심 인물로 소개되는 계봉우 선생은 문학인일 뿐 아니라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민족교육가로서 한 평생을 민족의 자주성과 언어, 역사 보전에 헌신한 인물이다.
1890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난 그는 1906년부터 함흥 영생중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고, 이후 이동휘 선생과 함께 비밀결사 신민회에 가입, 국권회복운동에 참여했다.
1911년 북간도로 망명한 그는 광성학교를 설립하고, 교과서 편찬과 민족교육에 매진하며 한인 사회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다.
1915년 일제에 체포돼 3년간 복역한 뒤, 러시아로 망명한 계 선생은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북간도 대표의원으로 의정 활동을 펼쳤다. 또한 ‘북간도 그 과거와 현재’, ‘김 알렉산드라 소전’, ‘의병전’ 등 주요 저작을 통해 독립운동과 국문학 연구를 이어갔다.
1920년에는 한인사회당 기관지 ‘자유종’ 주필로 활동했으며, 초·중등 교과서를 직접 편찬해 민족교육의 기틀을 세웠다. 1937년 연해주 한인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이후에도 카자흐스탄에서 22년간 한국어와 한국사를 가르치며 ‘조선문학사’, ‘조선문법’, ‘조선역사’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해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계봉우 선생의 생애는 문학과 교육, 독립운동이 하나로 어우러져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낸 실천적 지식인의 전형으로 평가받는다.
고려인마을 관계자는 “계봉우 작가를 비롯한 고려인 문학인들의 삶과 문학을 통해, 문학이 어떻게 민족의 기억과 정신을 지켜왔는지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방문을 바란다" 고 전했다.
한편, 고려인의 삶과 문학, 그 안에 담긴 역사의 진실을 되새기는 이번 전시는 내년 2월까지 고려인마을에서 계속된다.
고려방송: 안엘레나 (고려인마을) 기자
- 다음글[고려방송] 광주 고려인마을,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시 및 문화행사 개최 25.04.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